[태풍 다나스 진로] 왜 더 더울까? 못 뚫은 고기압이 만든 찜통더위 원인

반응형

태풍 다나스가 북상 중인데, 왜 날씨는 더 더워질까요?
고기압에 갇힌 한반도와 폭염의 원인을 기상 흐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태풍이 왔는데, 왜 나는 더 지쳐갈까요?

올해 여름에도 태풍 소식이 들려옵니다.
다나스(Danas)라는 이름의 태풍이
대만과 일본 남부 해상에서 세력을 키우고 있다는 뉴스.

그런데 이상하게도, 한국은 더 덥습니다.
“태풍 오면 시원해진다던데…”
오히려 서울엔 폭염 경보,
대구는 체감 38도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뉴스에는 이런 말이 등장합니다.

  • “태풍도 못 뚫는 고기압”
  • “찜통더위, 태풍 영향 더 키운다”

실제로 최근 검색어에는
태풍 다나스 2013’, ‘다나스 진로’,
찜통더위 원인’, ‘고기압 더위’,
서울 폭염’, ‘대구 날씨’ 같은 키워드들이 올라 있습니다.


왜 태풍이 더위를 식히지 못했을까?

올해 태풍 다나스는 대만을 거쳐
중국 저장성과 푸젠성 쪽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한반도와는 거리가 멀지만,
고기압이 태풍 진로를 막으면서,
한반도는 더위에 갇힌 상황이 되었습니다.

원인 설명

북태평양 고기압 뜨겁고 건조한 공기층이 한반도를 덮고 있음. 태풍 진로 차단, 더위 봉쇄.
다나스 진로 대만·중국 쪽으로 향해 직접 영향 적음.
지상은 가마솥, 상공은 뚜껑 고기압이 복사열을 가둠 → 더위 증폭.
바람 없음 + 지면 열기 바람도 약하고 비도 없어 체감온도 ↑

한반도 위를 덮고 있는 붉은 고기압 기류와, 일본·대만 방향으로 진행 중인 태풍 다나스의 경로가 대조되는 기상도. 고기압(H)은 태풍의 북상 진로를 막고 있고, 한반도에는 복사열이 가두어진 구조.
한반도 위를 덮고 있는 붉은 고기압 기류와, 일본·대만 방향으로 진행 중인 태풍 다나스의 경로가 대조되는 기상도. 고기압(H)은 태풍의 북상 진로를 막고 있고, 한반도에는 복사열이 가두어진 구조.


지역별 찜통더위, 왜 이렇게 다를까?

서울
: 습도 높고 열섬 현상으로 인해 체감온도 급상승.
대구
: 분지 지형 + 강한 일사로 폭염 빈도 상위권.
강릉
: 태백산맥 넘어 불어오는 남서풍 → 고온건조.최근 체감온도 비교 (7월 7일 기준)

  • 서울: 36.4°C
  • 대구: 38.2°C
  • 강릉: 35.7°C
    (출처: 기상청)

 

반응형

 


지금 날씨, 이렇게 이해하고 대비하세요

  • 태풍이 있어도 고기압이 강하면 더워진다
  • 찜통더위는 단순한 여름이 아니라 기압 구조 문제
  • 다나스 중심기압: 998hPa, 풍속 18m/s → 중형 태풍
  • 태풍은 멀리 있어도, 열대 기류는 한국을 덮는다
  • 오후 12시~5시 실외 활동은 피하고, 수분 섭취 필수

함께 보면 좋은 Q&A

Q. 태풍 다나스, 왜 한국은 비껴가나요?
→ 북태평양 고기압이 진로를 차단해 우회 중입니다.

Q. 과거에도 ‘다나스’라는 태풍이 있었나요?
→ 네. 2013년, 2019년에도 있었으며
당시에도 직접 피해 없이 폭염만 길게 남았습니다.


지금, 하늘을 올려다본다면

태풍은 멀고, 더위는 가까운 오늘.
“지금 내가 있는 이 더위는 어디서 온 걸까?”
문득 고개를 들어보면
그 답은 하늘 위에 있습니다.

당신이 있는 곳은 지금 어떤 하늘인가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밤에도 30도? 결국 밖으로… 초열대야가 바꾼 도심의 밤

 

밤에도 30도? 결국 밖으로… 초열대야가 바꾼 도심의 밤

2025년 7월, 초열대야가 계속되며 밤에도 30도가 넘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돗자리, 부채, 편의점 파라솔… 도심의 여름밤 풍경이 달라졌습니다.1. 여름밤, 이제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되었다

acorn2.tistory.com

2025년 장마, 예년보다 3주 빨리 끝난다?장마철 시기·기간·예상 종료일 총정리

 

2025년 장마, 예년보다 3주 빨리 끝난다?장마철 시기·기간·예상 종료일 총정리

2025년 장마는 예년보다 2~3주 빠르게 끝날 전망입니다. 장마철 시작 시기부터 장마기간 단축 이유, 장마전선 북상, 폭염 도래 시기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장마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것

acorn2.tistory.com

 

반응형